코스모스 오디세이

Cosmos Odyssey

제작 : (주)메타스페이스, (주)헉미디어

제작연도 : 2019년

상영시간 : 29분

관람가 : 전체관람가

주제 : 우주의 역사 및 현대 천문학

사용언어 :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상영형태 : 2D

PRIMIER
  • 2019 과천과학관 ‘코스모스 오디세이’ 국내 시사회
과천과학관 시사회 영상 보기
권오철감독 인터뷰 영상 보기
FULLDOME FESTIVAL & AWARD
  • 2019 Fulldome Festival Jena 출품
  • 2019 Fulldome Festival Brno 출품

SYNOPSIS

우주의 시작 빅뱅부터 지구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그것을 알아내기 위한 천문학자들의 노력을 따라가봅니다. 갈릴레오, 코페르니쿠스, 허블부터 켁 망원경, VLT까지 과거의 관측과 현재의 관측까지 천문학 전반을 아우르는 영상을 선보입니다. 고해상도의 실사 촬영과 화려한 CG로 어려운 내용을 쉽게 전달합니다. 권오철 천체사진가가 감독하였고  세계 여러 천문대에서 실사촬영한 밤하늘과 천문대의 영상이 담겨있습니다. 다양한 애니메이션 기법과 CG 기술이 적용되었고, RSA Cosmos사의 천체시뮬레이션소프트웨어인 SkyExplorer를 사용한 시뮬레이션으로 실제 데이터를 바탕으로한 밤하늘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코스모스 오디세이 미리보기

STORY OF THE SHOW

CG로 구현한 우주 탄생

빅뱅부터 현재까지의 우주탄생과 고대천문학 이야기가 컴퓨터 그래픽과 3D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하였습니다.

 

138억년전  우주의 탄생부터 지구에 지성을 갖춘 인류가 등장하는 과정이 담겨있습니다.  최초의 별과 은하들이 태어나기 시작하였고, 별의 죽음으로 또다른 새로운 별이 만들어지기를 반복하였습니다. 은하들이 서로 뭉쳐 더 큰 은하가 만들어졌고, 우리은하도 만들어졌습니다. 그리고 46억년 전, 태양이 탄생하였고 주변 부스러기들이 충돌하고 뭉쳐져서 행성들이 탄생하였고,  지구와 달, 그리고 지성을 갖춘 인류가 등장합니다.

STORY OF THE SHOW

3D 애니메이션 : 신화와 고대천문학

고대 천문학 발전과정을 3D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합니다. 팝업북 형식을 차용하여 공간감을 극대화한 형태로 풀어냅니다.

 

우주를 관측할 수 있는 과학기술이 없던 고대에는 우주를 다양한 이야기로 설명하기 시작했습니다. 우주를 설명하려는 다양한 신화와 이야기가 생겼습니다. 또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과 달, 우주가 돌고있다는 천동설이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이후, 코페르니쿠스가 지동설을 주장하기 시작했고, 4백여년 전 갈릴레이는 망원경으로 직접 목성의 위성을 발견하고 금성과 달을 관측했습니다. 이는 지동설의 증거가 되었습니다. 이후 케플러, 뉴턴을 거쳐 점차 많은 사람들이 망원경으로 밤하늘을 올려다보고, 태양계의 행성과 천체들을 관측하기 시작하면서 신비롭기만했던 우주의 비밀이 밝혀지기 시작합니다.

STORY OF THE SHOW

실사촬영 : 현대의 대표적인 천문대

현대에 들어서며 천문학은 관측장비의 발전과 함께 도약하기 시작합니다. 현대 관측장비들의 규모가 커지고 성능이 발전하였으며, 우주에 망원경을 보내 천체를 관측하기 시작합니다.

 

오늘날 전세계의 대표적인 천문대, 관측장비의 모습을 실사영상으로 촬영하여 영화에 담았습니다. 하와이 마우나케아산 정상의 쓰바루 망원경과 켁 망원경,  카나리아 제도 라 팔마 섬의 Grand Telescope, 미국 로스엔젤레스 윌슨천문대, 칠레 아카타마 사막의 VLT,  ALMA, 미국 뉴멕시코의 VLA 등을 촬영한 영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화에 등장하는 촬영장소, 망원경

  • Canaris, Spain / Grand Telescope
  • Mauna Kea, Hawaii / W.M.Keck Observatory, Subaru Telescope
  • Los Angeles, USA / Mount Wilson Observatory
  • New Mexico, USA / VLA(Very Large Array)
  • Atacama, Chile / VLT (Very Large Telescope), ALMA(Atacama Large Milimeter Array)
Subaru Telescope, Hawaii
W.M.Keck Observatory, Hawaii
Mount Wilson Observatory
Grand Telescope, La Palma
VLT, Chile
ALMA, Chile
VLA, USA